- 메인이동
- 글로벌 동향
- 글로벌 분야별뉴스
글로벌 분야별뉴스
디지털 헬스케어
3D 바이오프린팅, 장기이식 관련 혁신 잠재력 보유
등록일 2023-07-24
3D 바이오프린팅, 장기이식 관련 혁신 잠재력 보유
3D 바이오 프린팅은 장기이식 관련 장애요인을 제거하여 장기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는 데 기여하고, 향후에는 장기 기증의 필요성조차 없앨 수 있을 정도로 의학계에 혁신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
- (기증자 등록 실패) 등록된 모든 장기 기증자가 의학적, 종교적 또는 기타 이유로 기증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사용 가능한 장기 기증자의 데이터베이스 공유 제한 및 장기 운송의 문제 때문에 장기 기증자 등록의 정확성을 기대할 수 없는 상태
- (매우 구체적인 매칭조건) 장기 이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증자와 수혜자의 혈액형, 인종, 신체 크기 및 지리적인 조건이 충족해야 하며, 특히 간, 췌장 및 장 장기는 12시간 이내에, 심장 및 폐는 6시간 이내에 이식해야 하기 때문에 적출과 이식 사이에 걸리는 소요시간도 고려요인
- (공급을 앞지르는 수요) 대기자 명단에 있는 사람들의 50%만이 5년 이내에 장기를 받고 있으며, 미국에서만 10분마다 새로운 사람이 전국 이식 대기자 명단에 추가되어 절차가 더욱 복잡해지고 장기에 대한 수급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
- 3D 바이오프린팅 솔루션은 환자 자신의 줄기 세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이식된 실험실에서 배양된 조직이나 장기로 이식되어 거부 반응을 거의 제로화시키는 것이 가능
- 또한 바이오프린팅 조직은 필요에 따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장기 운송의 어려움을 줄이고 정부 의료 시스템의 지출과 치료 비용을 지불하는 환자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전망
[World Economic Forum, 2023.06.21.]
↑ 클릭 시 기사 원문으로 이동
해당 첨부파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