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디지털 헬스케어

생물학과 데이터과학의 수렴, 그것이 지닌 전 인류적 함의

등록일 2023-04-24

생물학과 데이터과학의 수렴, 그것이 지닌 전 인류적 함의

생물학과 데이터과학을 수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유익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때 유용한 판단의 틀을 데이터 가치와 생물학의 상호연결성 측면에서 제시 혁신 파워와 관련해 △(생물학) 게놈 시퀀싱 비용 하락으로 게놈 시퀀싱이 크게 증가한 반면, 그로 인해 파생된 정보에 대한 이해력은 이에 못 비치는 상황 △(데이터 과학) 인공지능(AI) 시스템의 훈련 시간/비용이 ’18년 6분/1,000달러에서 ’21년 13초/5달러로 크게 줄어들었으며, 그 결과 ’21년 AI 혁신 관련 특허 출원 수가 ’15년 대비 30배 증가

  • (데이터 가치) △데이터는 공유․결합․재구성될 때 가치가 증대된다는 인식 △데이터 세트는 재사용 가능한 자원이라는 인식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데이터를 사용할수록 데이터는 보다 정제되고 개선된다는 인식 △결국 커뮤니티들이 데이터를 사용하고 그 유익을 공유해야 한다는 인식
  • (생물학의 상호연결성) △인체 내 유전자와 단백질 구조는 동식물과도 공통점이 있다는 인식 △개인의 DNA 세트는 개인의 것만이 아니라는 인식 △데이터 세트를 공유하거나 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것은 가족을 넘어 전 인류 및 지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  

[WEF,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