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디지털 헬스케어

미국 6개 병원 시스템, AI 임상 적용 위한 단계별 도입 전략 수립

등록일 2025-09-24

미국 6개 병원 시스템, AI 임상 적용 위한 단계별 도입 전략 수립

  • 미국의 6개 병원 시스템(Health System)*이 AI 원활하게 도입하기 위해 △직원 초기 참여 유도 △단계별 시범 운영 △AI 인식 개선 등의 전략을 수립함
  • * 여러 △병원 △진료소 △연구 △행정 조직을 하나의 운영 체계로 통합해 의료 제공과 경영을 총괄하는 대규모 의료 네트워크
  1. ① 펜실베이니아(Pennsylvania)의 의료·연구기관인 제퍼슨 헬스(Jefferson Health)는 옵트인(Opt-in)** 방식으로 의료 문서 자동화를 시작하여 자발적인 참여 등을 강조함
  2. ** 사용자가 사전에 명시적으로 동의해야만 정보 수집, 마케팅 활동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의 방식
  3. ② 캘리포니아(California) 대학병원 네트워크인 UCLA 헬스(UCLA Health)는 혁신 부서를 중심으로 단계적 시범 운영과 전문가 그룹 참여 기반 AI 도입 확산을 추진함
  4. ③ 오하이오(Ohio) 종합병원 네트워크인 숨마 헬스(Summa Health)는 대화형 AI***는 쉽게 받아들여지지만, 생성형 AI****는 예측 불확실성 등의 위험성이 있어 보다 엄격한 검토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함
  5. *** 미리 설정된 규칙과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의 질문에 일관된 방식으로 응답하는 AI ****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새 문장·이미지 등 새로운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내는 AI
  6. ④ 플로리다(Florida) 국가종합암센테인 모피트 암센터(Moffitt Cancer Center)는 초기 AI 도입자가 동료를 교육·지원하며 신뢰를 기반으로 확산 전략을 추진함
  7. ⑤ 애리조나(Arizona) 비영리 의료시스템인 TMC 헬스(TMC Health)는 AI 도입 목적을 명확히 설명하고, 역할별 교육을 통해 AI 사용 부담을 최소화함
  8. ⑥ 사우스캐롤라이나주(South Carolina) 의료시스템인 로퍼 세인트 프랜시스 헬스케어(Roper St. Francis Healthcare)는 AI 기반 무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AI 인식 개선을 추진함
  • 모든 사례는 병원 시스템의 AI 도입 과정에서 △신뢰 형성 △변화 관리 △기존 업무 프로세스 통합이 중요하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강조함

[Becker's Hospital Review, 2025.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