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제약·의료기기·화장품

MIT 연구진, 생성형 AI로 슈퍼박테리아 퇴치 신규 항생제 2종 개발 성공

등록일 2025-09-03

MIT 연구진, 생성형 AI로 슈퍼박테리아 퇴치 신규 항생제 2종 개발 성공

  •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연구진이 생성형 AI를 통해 약물 내성 임질(Drug-resistant Gonorrhea)*과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을 퇴치할 수 있는 신규 항생제 2종(NG1과 DN1)***의 초기 설계를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셀(Cell)에 발표함
  • * 기존 항생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성매개감염병으로, 치료가 매우 어려운 슈퍼박테리아에 의한 질환 **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슈퍼박테리아의 대표적 사례 *** NG1은 임질균 대상, DN1은 MRSA 대상으로 개발된 신규 항생제 화합물
  • AI 모델은 기존 화합물들의 화학구조와 병원성 세균 억제 효과를 학습한 후, △탄소 △산소 △수소 △질소 등 원자로 구성된 분자구조가 박테리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기존 항생제와 유사한 물질과 인체 유해 화합물은 배제하도록 AI 모델을 설정함
  • 연구팀은 △8~19개 원자로 구성된 화학물질 데이터에서 단서를 찾아 확장하는 방식과 △AI가 처음부터 자유롭게 설계하는 방식을 병행 적용하였으며, 개발된 화합물들은 실험실 배지에서 병원성 세균 성장을 억제했고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도 효과가 확인됨
  • MIT의 기존 AI 기반 항생제 개발 성과에 이번 연구 결과가 축적되면서 항생제 개발의 제2 황금기를 열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고, 전통적 신약 개발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과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됨

[MIT News, 2025.08.14.; CNET, 2025.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