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의료서비스

AI 원격의료산업, 진단부터 문진·모니터링까지 활용 범위 확대

등록일 2025-06-25

AI 원격의료산업, 진단부터 문진·모니터링까지 활용 범위 확대

  • 2025년 AI는 원격의료에서 △진단 보조 △가상 문진 △환자 모니터링 △행정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이 확산되고 있음
  •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에 따르면 AI를 사용하는 의사 비율은 2023년 38%에서 2024년 66%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원격의료 분야 AI 투자는 연평균 26% 성장해 2033년까지 1,560억 달러(한화 217조 원) 규모가 될 전망임
  • 의료현장에서는 △중환자실 감시 △영상 분석 △환자 예후 예측 △가상 상담 △챗봇 기반 치료 안내 △음성 인식 문서화 △만성질환 관리 △정신건강 체크까지 포괄적인 역할을 수행 중임
  • 또한, AI 기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외래환자, 재택환자, 지방 거주자 등 의료 접근성이 낮은 환자에게 실시간 진단과 치료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 그러나 전문가들은 △데이터 투명성 부족 △윤리성 문제 △알고리즘 신뢰성 △의사-환자 간 신뢰 저하 △업무 흐름 혼란 등 AI 도입에 따른 우려가 있음을 지적함
  • 향후 10~15년간 AI가 의료 및 원격의료 분야에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 및 제도·기술적 정비가 마련되고 있는 전환기의 단계라고 평가함

[TechTarget, 2025.06.04.; Forbes, 2025.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