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디지털 헬스케어

FDA,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스마트워치 승인

등록일 2024-09-10

FDA,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스마트워치 승인

 

  • 리서치 기업 글로벌데이터(GlobalData)는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시스템 시장 규모가 2023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3.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며, 2033년 13억 달러(한화 1조 7,604억 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이라고 분석함
  • 스마트워치는 실제 수면검사를 대체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스마트워치가 환자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Obstructive Sleep Apnea)*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스마트워치의 수면 중 호흡 감지 기능을 승인함
    입이나 목의 공간이 좁아져 수면 중 공기 흐름이 일시적으로 막히는 질환
  • 이러한 시장의 흐름에 따라, 2024년 9월 전자기기 기업 애플(Apple)은 수면 무호흡증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경고하는 기능이 탑재된 애플 워치 시리즈 10(Apple Watch Series 10) 또는 애플 워치 X(Apple Watch X)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힘
  • 삼성전자는 삼성 갤럭시 워치(Samsung Galaxy Watch)를 사용하여 중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징후를 감지할 수 있어, FDA로부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감지에 대한 최초 승인을 받음
  • 스마트워치에 수면 무호흡증 감지 기능을 탑재하는 것은 편리하면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이점과, FDA가 승인했다는 요인으로 인해 앞으로 성장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술의 채택이 확대되고 더욱 발전할 전망임


[Medical Device Network,2024.08.22.; GlobalData,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