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영국 보건부, 제약업계와 의약품 가격 협상 결렬로 23% 환급률 유지 강행

등록일 2025-09-10

영국 보건부, 제약업계와 의약품 가격 협상 결렬로 23% 환급률 유지 강행

  • 영국 보건부 장관과 제약업계 간의 의약품 가격 협상이 결렬되면서, 국민보건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 NHS)에 판매되는 신약에 대해 최대 23%의 강제 환급률*을 유지하는 현 제도가 지속되어 영국 생명과학 산업의 투자 위축과 환자 치료 접근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음
  • * 제품 판매 후 매출의 일정 비율을 다시 NHS에 돌려주는 제도로, 의료비 절감을 위한 정부 정책 수단
  • 이번 협상 결렬의 핵심은 VPAG(Voluntary Scheme for Branded Medicines Pricing, Access and Growth) 제도**로, 영국 정부가 2024년 12월 신약에 대한 환급률을 기존 5%에서 22.9%로 급격히 인상한 데 대해 제약업계가 강력히 반발하면서 발생했음
  • ** 브랜드 의약품 △가격 △접근성 △성장을 위한 자발적 제도로, 제약회사와 정부 간 의약품 가격 협의 체계
  • 영국 제약산업 협회(The Association of the British Pharmaceutical Industry, ABPI)는 현재 환급률이 다른 유럽 국가 대비 3배 수준으로 지속 불가능한 점을 강조하며, 이로 인해 영국 내 신약 출시 감소와 투자 축소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음
  • 글로벌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CEO는 올해 초 높은 환급률이 영국 투자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밝힌 바 있으며, 실제로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는 체중감량 주사제 마운자로 (Mounjaro)의 영국 가격을 최대 170% 인상한다고 발표함
  • 이번 사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제약업계 압박과 맞물려 글로벌 의약품 가격 정책의 복잡성을 보여주며, 혁신 의약품 개발 투자와 의료비 절감 사이의 균형점 찾기가 각국 정부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함

[The Guardian, 2025.08.22. Pharmacy In Focus, 2025.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