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이동
- 글로벌 동향
- 글로벌 분야별뉴스
글로벌 분야별뉴스
의료서비스
중국 의료관광 발전의 시공간적 패턴, 역동적 진화 및 영향 요인 분석
권역 아시아 국가 중국 등록일 2023-10-16중국 의료관광 발전의 시공간적 패턴, 역동적 진화 및 영향 요인 분석
’10~’19년까지 중국 31개 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관광 발전을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엔트로피 방법, Thiel 지수, 탐색적 공간 데이터분석, 공간 마르코프 체인 및 계량모델)을 통해 실증적 분석
- 중국 Health China 전략의 포괄적 추진, 급속한 경제 및 사회 발전, 관광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의료관광에 대한 관심 높아지고 활력을 불러일으켰으며, 본 논문은 현상 분석을 통해 대응책 및 정책을 제안
- 결론적으로 △중국 의료관광 발전 지수는 낮으나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른데, 지역 간 발전 지수는 중국 동부 > 중부 > 서부 패턴을 보이고, 발전 속도는 서부 > 중부 > 동부 순이며, △전반적으로 지역 간 차이보다는 지역 내 차이가 일관되게 높게 나타나며, 중부가 동부와 서부보다 높음
- 또한 시공간적 패턴으로는 글로벌 공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로컬공간에서는 클러스터링 경향을 보이는데, 장쑤성, 허난성, 및 기타 성 및 도시는 항상 건강관광 개발의 핫스팟 지역이며 간쑤성은 건강관광 개발의 콜드스팟 지역 마지막으로 건강관광 개발의 역동적인 진화는 지리적 공간에서는 특정한 매튜 효과가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서로 다른 지역적 맥락으로 공간적 파급효과는 이질적어어서 다른지역적 맥락에서 추가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았음. 또한, 건강 관광 발전 영향 요인으로 사회적상황, 교통 상황, 인재 현황, 소비자 소비 공급 등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와 상업구조, 산업기반 경제 상황의 총 효과는 양의 효과를 불러일으킴
[Nature, 2023.09.18.; China briefing,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