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이동
- 글로벌 동향
- 글로벌 분야별뉴스
글로벌 분야별뉴스
디지털 헬스케어
미 디지털 생물학,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의 시사점 연구
권역 북미 국가 미국 등록일 2023-04-10
미 디지털 생물학,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의 시사점 연구
유기체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시퀀싱 기술은 저렴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유전자 염기서열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여 해당 유전자가 유기체 내에 어떻게 발현되는지 연구
- 민간기업 및 공공 연구단체는 대량의 유전자 서열 데이터를 생산하고 대량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유전자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특성화하여 생태계 구성과 기능에 대한 이해, 새로운 종의 발견, 기후변화의 역할 연구, 미래 전염병에 대한 관리, 농업 개선 및 새로운 생체 재료 발견에 활용
- 실례로 민관이 합심하여 △MIT와 Harvard는 매월 500테라베이스의 게놈 데이터 생성하고 △’18년 미국 국립보건원은 100만 명의 임상, 생활, 건강기록 및 게놈 데이터 수집연구 프로그램 시작했으며 △EMP(Earth Microbiome Project)를 통해 전 세계 미생물을 시퀀싱하여 Gene Digital Bioloy Atlas(디지털 유전자 지도)를 만들기 위해 20만 개 샘플 시퀀싱이 목표
- 미 백악관은 생명공학과 생물제조업 육성 관련, 5년 내 100만 종의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컴퓨팅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시퀀싱 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보호 문제는 물론, 중국의 미국기업 인수와 사이버 공격 등 사회 및 국가안보 차원의 우려가 현실화
[CRS,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