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 앱과 웨어러블,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

등록일 2023-02-27

디지털 헬스 앱과 웨어러블,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

애플워치(Apple Watch) 등의 디지털 헬스 앱과 웨어러블은 ‘개인의 권한부여’에 대한 암묵적 약속과 함께 판매되고 있으나, 현재는 개인 건강 개선이란 나무에만 집중해 전체적 숲을 놓칠 우려 존재

  • 개인의 건강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웨어러블 시장의 성장세 속에서 한 개인을 넘어 가족, 지인, 커뮤니티 전체, 이른바 ‘숲’에 새롭게 집중할 필요성이 대두
  • (운동/질병 매핑) △디지털 헬스 제품에 사회 및 커뮤니티 요소를 통합 △피트니스 추적기 등에서 발생하는 범커뮤니티 데이터는 공중보건 모델의 자료로 활용 중 △일례로 휴대폰 위치 데이터는 질병 경로 매핑에 사용
  • (자살 조기경고 시스템) △십대 정신건강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하버드대 연구팀은 사람들의 헬스 데이터 풀을 만들어 이를 인공지능(AI)에 기반해 유의미하게 가공 △핏빗(Fibit)과 스마트폰 데이터를 결합해 자살 지표를 통찰 △AI와 헬스 센서 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향후 자살 조기 경고시스템의 구축을 기대
  • (개인정보보호) 개인정보를 업체 및 보건 기관과 공유하는 것을 둘러싼 우려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데이터 관리의 투명성에 대한 공개소스 표준 개발 △개인정보 공유 시기 및 대상에 대한 통제권한 부여하기 등을 제시


[RAND, 2022.12.27.; Dovepress,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