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아시아태평양, 화장품에 대한 여행 소매업 시장 동향

권역 아시아 등록일 2022-06-13

아시아태평양, 화장품에 대한 여행 소매업 시장 동향

COVID-19 이전에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은 면세점 등 여행 소매점에서 눈에 띄는 팝업 캠페인을 주최하거나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는 등 화장품 트렌드를 주도하였으며, ’22년 여행재개에 힘입어 디지털 혁신과 지속 가능성을 기반으로 여행 소매점의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 여행 소매업은 대부분의 브랜드가 제품을 선보이는 핵심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19년 시세이도는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을 도입한 SENSE 뷰티 팝업을 출시하여 여행객들에게 감각적인 소매 경험을 제공
  • 최근 몇 년 동안 로레알(L’Oreal), 에스테로더(Estee Lauder), 시세이도(Shiseido)와 같은 글로벌 뷰티 브랜드들은 여행 소매 채널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일본의 카오(Kao)와 폴라오르비스(Pola Orbis)와 같은 회사들이 신속하게 여행 소매 채널을 확대하는 추세
  • 여행 소매점에서의 구입 동인으로는 △가치효용 △가격 △편리성 △디스플레이 △차별성 △프로모션 △브랜드 충성도 △적절한 기념품 △독특성 △사은품 등이며, ’22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글로벌 브랜들은 화장품의 디지털 혁신과 지속 가능성을 기반으로 여행 소매업의 회복을 주도할 전망

[ Cosmetics design asia, 2022.05.24.; CISION, 2022.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