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서비스 시장 현황
'21년 병원서비스의 총 매출액은 '20년 대비 12.3% 증가한 214억 9,270만 달러로 성장추세임
병원서비스 시장 변화
(단위: 백만 달러)
병원서비스 시장 변화 : 구분,2017~2021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총 매출 |
17,272.8 |
18,185.5 |
19,356.6 |
19,143.3 |
21,492.7 |
|
출처: 싱가포르 통계청. Key Indicators By Detailed Industry In All Services Industries.
https://tablebuilder.singstat.gov.sg/table/TS/M601481#! (검색일: 2023.05.02)
보건의료 지출 동향
'22년 의료비는 229억 달러 수준으로 '21년 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26년까지 318억 달러 수준으로 지출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21년 1인당 의료비는 3,716달러로 '21년 대비 2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6년 5,200달러로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1년 기준 GDP 대비 의료비 비율은 5.52%로 나타났으며, '26년에 5.71%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1년 기준 총 의료비 중 공공 지출 비율은 62.3%, 민간 지출 비율 37.7%로 나타났으며, '26년 공공 지출 평균 61.5% 수준, 민간 지출은 38.5%
수준으로 변동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공공 지출과 민간 지출의 비율은 한국과 비슷한 수준임
- 한국의 '20년 기준 의료비 지출 규모는 1,650억 달러이며, 1인당 의료비는 3,582달러로 조사되었음
- 총 의료비 중 공공 지출은 62.6%, 민간 지출은 37.4%로 공공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
싱가포르 보건의료 지출 전망
(단위: 달러, %)
싱가포르 보건의료 지출 전망 : 구분,2019~2026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2019 |
2020 |
2021 |
2022f |
2023f |
2024f |
2025f |
2026f |
의료비 (10억) |
16.877 |
17.646 |
21.915 |
22.991 |
24.134 |
27.850 |
29.872 |
31.846 |
연간성장률 |
2.51 |
4.56 |
24.20 |
4.91 |
4.97 |
15.39 |
7.26 |
6.61 |
1인당 의료비 |
2,907.6 |
3,016.2 |
3,716.5 |
3,868.3 |
4,028.9 |
4,614.2 |
4,914.1 |
5,203.9 |
GDP 대비 의료비 비율 |
4.49 |
5.11 |
5.52 |
5.48 |
5.54 |
5.58 |
5.64 |
5.71 |
총 의료비 중 공공 지출 비율 |
58.70 |
58.04 |
62.30 |
62.43 |
62.20 |
61.96 |
61.72 |
61.52 |
총 의료비 중 민간 지출 비율 |
41.30 |
41.96 |
37.70 |
37.57 |
37.80 |
38.04 |
38.28 |
38.48 |
f: 전망치
출처: Fitch Solutions(2022). Singapore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p.11-12
글로벌 의료서비스 순위
글로벌 의료서비스 순위(Best Healthcare in the World 2023)*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진료접근성(access to care),
환자성과(patient outcomes), 대기시간(waiting time) 및 시스템 효율성(the efficiency of the system) 등 다양한 요소를 평가하여 의료시스템에 대한 순위를
발표함
* Best Healthcare in the World 2023은 레가툼 국가별 번영지수(Legatum Institute’s Prosperity Index)를 기반으로 의료하위지수까지 포함하여 책정한
순위임. 의료시스템(Care System Score)은 0∼100점으로 책정되어 질병을 치료하는 의료시스템의 능력을 측정하며, 건강점수(Health Score)는 0∼100점으로 책정되어 보건시스템,
질병·위험요소, 사망률 등의 건강상태를 포함하며 이에 필요한 서비스 접근정도를 측정함
-
싱가포르의 글로벌 의료서비스 중 의료시스템 68.1점으로 39위, 건강점수 86.1점으로 2위를 차지함
- 글로벌 평균은 의료시스템 54점, 건강점수 69점, 한국은 의료시스템 75.1점(22위), 건강점수 84.1점(3위)임
(의료서비스 지수(Health Care Index))는 CEO World Magazine의 의료서비스 지수는 보건의료 인프라, 보건의료 전문가 역량, 의약품의 품질,
정부 정책 등 보건의료체계의 전반적인 질(Quality)에 대한 통계적 분석 지표임
-
'21년 의료서비스 지수에서 싱가포르는 48.54점으로 세계 24위, 한국은 78.72점으로 1위를 차지함
싱가포르 및 주요국의 의료서비스 지수('21년)
싱가포르 및 주요국의 의료서비스 지수('21년) : 랭킹,국가명,의료서비스 지수,인프라,전문가,비용,의약품,정부정책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랭킹 |
국가명 |
의료서비스 지수 |
인프라 |
전문가 |
비용 |
의약품 |
정부정책 |
1 |
한국 |
78.72 |
87.16 |
14.23 |
83.59 |
82.3 |
87.89 |
2 |
타이완 |
77.7 |
79.05 |
13.06 |
78.39 |
78.99 |
65.09 |
3 |
덴마크 |
74.11 |
90.75 |
30.01 |
82.59 |
92.06 |
96.3 |
4 |
오스트리아 |
71.32 |
86.18 |
20.25 |
78.99 |
88.23 |
91.8 |
5 |
일본 |
70.73 |
78.77 |
21.6 |
74.88 |
74.18 |
93.2 |
24 |
싱가포르 |
48.54 |
82.67 |
13.35 |
66.15 |
81.98 |
81.63 |
출처: CEO WORLD Magazine(2021.04.27). Revealed: Countries With The Best Health Care Systems, 2021.
https://ceoworld.biz/2021/04/27/revealed-countries-with-the-best-health-care-systems-2021/ (검색일: 2023.06.08)
(세계 의료 혁신지수(World Index of Healthcare Innovation 2020-2050))* 싱가포르는 세계 7위를 기록하는 등 의료서비스 부문에서
선진화되어 있음('21년)
* 세계의료 혁신지수 점수 도출 FREOPP. How We Compiled the 2022 World Index of Healthcare Innovation.
https://freopp.org/how-we-compiled-the-2022-world-index-of-healthcare-innovation-b8ec91eeae3f (검색일: 2023.05.15)
: 의료의 질은 예방가능한 질병의 측정(병원입원, 급성치료생존율, 5년 암 생존율, PPP 조정 GDP 성장률 및 COVID-19에 따른 범유행 대비 및 대응), 환자중심진료(대기시간 등),
인프라(1인당 1차 진료의사, 급성병원 침대 점유율 등)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출함. 선택은 건강보험의 경제성(건강보험의 총비용 등), 의료서비스 선택의 자료(보험 상품 선택, 제공업체 등),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접근에 따른 측정치의 점수 계산하여 도출함. 과학기술은 의료발전(의료특허건수, 1인당 민간 의약품 연구개발비 등), 건강 디지털화(전자건강기록 채택률 등)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표준화된
점수를 도출함. 재정지속가능성은 국가지급능력(GDP 부채비율, 1인당 공중보건 지출), 의료 지출 증가(지난 10년간 GDP에서 차지하는 공공 보건 지출의 증가)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표준화된 점수를
도출함
- 의료 질 55.77점, 선택 46.84점, 과학기술은 47.98점, 재정안정성 50.89점으로 총합 50.17점으로 평가됨
- 한국은 총점 50.37점으로 싱가포르보다 12위 낮은 수준이나, 재정적 지속성에서는 60.75점으로 싱가포르보다 약 10점 높음
- 아세안 지역에서 선진적인 의료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의료산업은 '29년 49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의료 혁신지수
세계 의료 혁신지수 : 순위,국가명,단계 ,점수,퀄리티,선택,과학기술, 재정적 지속성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순위 |
국가명 |
단계 |
점수 |
퀄리티 |
선택 |
과학기술 |
재정적 지속성 |
1 |
한국 |
78.72 |
87.16 |
14.23 |
83.59 |
82.3 |
87.89 |
2 |
타이완 |
77.7 |
79.05 |
13.06 |
78.39 |
78.99 |
65.09 |
3 |
덴마크 |
74.11 |
90.75 |
30.01 |
82.59 |
92.06 |
96.3 |
4 |
오스트리아 |
71.32 |
86.18 |
20.25 |
78.99 |
88.23 |
91.8 |
5 |
일본 |
70.73 |
78.77 |
21.6 |
74.88 |
74.18 |
93.2 |
24 |
싱가포르 |
48.54 |
82.67 |
13.35 |
66.15 |
81.98 |
81.63 |
출처: FREOPP(2022.06.17). Introducing the FREOPP World Index of Healthcare Innovation. https://medium.com/freopp/wihi2020-505b1b60bce6 (검색일: 2023.05.08)
(국가별 건강관리 지수) NUMBEO에서 제공하는 국가별 건강관리지수(Health Care Index by Country 2023)*는 전 세계의 의료시스템·의료서비스에 대해 평가한 것으로 싱가포르는 28위를 차지함(한국 2위)
* NUMBEO에서 제공하는 의료지수는 웹사이트 방문자의 건강관리 설문조사를 토대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됨. 본 설문조사는 전 세계 43,365명, 4,106개 도시에 대해서 수행됐으며 NUMBEO. Health Care Index by Country 2023. https://www.numbeo.com/health-care/ (검색일: 2023.06.09)
, 의료진의 기술 및 역량, 검사 및 보고서 작성 속도, 현대적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비, 진료의 정확성 및 완전성, 직원의 친절함, 의료기관의 대응(대기), 위치의 편리성을 토대로 설문조사한 결과임
- (의료지수(Health Care Index)) 의료시스템·의료전문가·장비·직원·의사·비용 등의 전반적인 품질에 대한 추정치로서, 싱가포르는 70.9점으로 한국(83.0점)보다 낮음
- (의료비지수(Health Care Exp Index)) 의료지수에 사용자의 데이터·인식을 반영하여 국가별 의료시스템을 평가·비교하여 의료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비교 도구로서, 싱가포르는 131.4점으로 한국(152.0점)보다 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