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 시장 규모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관광 시장의 연간성장률(CAGR '22-'28년)은 4.6%로 전망됨
-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관광 시장의 성장은 효율적이고 독점적인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의료부문에 대한 정부의 상당한 투자에 기인함
'19년 기준 해외로 의료관광을 떠난 사우디아라비아인 환자는 2,842명, '20년에는 '19년 대비 82% 감소한 488명으로 조사됨
-
해외로 의료관광을 떠나는 환자들이 선호하는 치료법은 암 치료, 이식 수술, 내과, 심장 치료 등으로 이루어짐
(순례자 의료서비스 무료 제공) 사우디아라비아는 Hajj 2023 순례자를 위해 하지부(Hajj Ministry)와 보건당국(health authorities)은 수천만 달러에 달하는 수술을 포함하여 의료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
-
메카(Makkah)와 메디나(Madinah)의 성지에 172개의 병원과 보건센터를 준비함
의료관광 관련 정책
(의료관광 비자 발급의 어려움) 사우디아라비아는 외국인환자에 대한 비자 발급 및 서류 절차 등 어려움이 존재하며, 남녀 모두 엄격한 옷차림을 해야 하는 등 사회적, 문화적 제약들이 있어 의료관광이 아직 활성화되지 못함
사우디아라비아 전략인 Kingdom’s Vision 2030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종합투자청(The Saudi Arabian General Investment Authority, SAGIA)은 '20년에 295개 주립병원을 민영화하겠다는 사우디 정부의 새로운 공약에 따라 의료분야에 관련된 외국인 투자자에게 100% 소유권을 부여하였고, 이를 통해 국가는 의료관광 시장에 관련된 국제 산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음
'20년 인도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기술과 모범 사례를 공유하고, 의료관광에 대한 상호 투자를 장려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관광 인프라를 개발하기 위해 MOU를 체결함
의료관광 주요 병원 및 서비스
(현지 의료관광 Key Player) 주요 업체로는 아라비안 걸프 의료관광청(Arabian Gulf Medical Tourism Agency), 킹 압둘라 전문 어린이병원(King Abdullah Specialist Children's Hospital), 솔리만 파케 병원(Dr. Soliman Fakeeh Hospital), 알 라얀 병원(Al Rayan Hospital), 장기 이식 사우디 센터(Saudi Center for Organ Transplantation), 비어 메디컬 그룹(Abeer Medical Group), 이나야 의료관광(Inaaya Medical Tourism) 등이 있음
(의료도시의 부상) 첨단 의료기기 및 기술을 갖춘 의료서비스를 포괄하여 진단 절차와 치료 접근법을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포함함
- 리야드의 킹 파하드 메디컬 시티(King Fahad Medical City in Riyadh), 메카의 킹 압둘라 메디컬 시티(King Abdullah Medical City in Makkah), 담맘의 킹 칼리드 메디컬 시티(King Khalid Medical City in Dammam), 남부지역 킹파이살 의료도시(King Faisal Medical City for Southern Regions), 모하메드 빈 압둘아지즈 왕자의 의료도시(Prince Mohammed Bin Abdulaziz Medical City)로 총 5개의 의료도시가 있음
사우디아라비아의 클리니크 라 프레리(Clinique La Prairie)는 의료리조트로 웰니스를 중심으로 한 컨셉을 가진 호텔임
- 면적은 약 36,115m3에 달하며, 52개의 방, 아파트, 13개의 빌라로 구성될 예정임
- (의료서비스) 예방의학, 유전학, 후생유전학, 피로, 불안, 소화기질환, 불면증, 당뇨병 치료 등을 주요 의료서비스로 제공예정임
- (의료진 및 시설 운영)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의료진, 진단연구실, 박물관 등이 들어설 예정이며, 의료리조트는 100% 재생 가능 에너지로 운영될 예정임
의료관광 순위
'20-'21년 세계의료관광지수(Medical Tourism index, MTI)*에 따르면, 캐나다가 1위(76.47점), 싱가포르 2위(76.43점), 사우디아라비아는 35위(63.32점)로 나타남
* MTI: 46개 의료관광 목적지에 대해 미국인의 인식 순위를 매기고 있으며, 의료관광산업, 목적지 매력, 의료서비스 품질 등 3가지 측면에서 41개 기준으로 조사한 지수임
- 사우디아라비아는 전 세계 46개국 중 목적지로서의 매력은 39위, 의료관광산업으로서는 39위, 의료서비스 품질로는 17위를 차지함
- 한국(68.81점)은 14위임
국제 의료관광기관
사우디아라비아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CI) 인증을 받은 의료시설의 수가 110개로 조사됨('23년, 8월)
- 한국은 JCI 인증 받은 의료시설이 7개*로 조사됨('23년, 5월)
* Goodwill Dental Clinic at Hadan, Humphreys Dental Clinic, Kim Byoung Joon LEDAS Varicose Vein Clinic,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Proud Urology Clinic,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치료비용 비교
사우디아라비아는 의료시설 및 수준이 높아 치료비용이 다른 국가와 비슷한 수준임
- '23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의 체외수정 비용은 약 4,000달러로, 미국(15,400달러, '21년)의 약 25%, 한국(8,000달러, '21년)의 약 50% 수준임
- '23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의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의 비용은 1,333~1,866달러로, 미국(1,500달러, '21년) 및 한국(1,500달러, '21년)과 비슷한 수준임
주요 진료 및 수술비용 비교
(단위: 달러)
주요 진료 및 수술비용 비교:구분,사우디아라비아,미국,한국(2021)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사우디아라비아 |
미국(2021) |
한국(2021) |
체외수정(IVF Treatment) |
4,000-4,266(2023) |
15,400 |
8,000 |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 |
1,333-1,866(2022) |
1,500 |
1,500 |
출처: SELECT IVF(2023). What is the cost of IVF in Saudi Arabia in 2023?. https://www.selectivf.com/ivf-cost-in-saudi-arabia/ (검색일: 2023.09.05); weCARE(2022). Dental Implant Prices In Saudi Arabia. https://wecare.com.tr/dental-implant-prices-in-saudi-arabia/ (검색일: 2023.09.05); MedicalTourism.com(2021). International Medical Treatment Prices. https://www.medicaltourism.com/compare-prices (검색일: 2023.09.05);
방한 사우디아라비아인 현황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22년 한국을 방문한 사우디아라비아인은 '21년 대비 673.3% 성장한 8,491명으로 조사됨
-
이는 '19년에 비해 약 60%수준으로, COVID-19 이후 방한 사우디아라비아인의 수치가 급감하다가 '22년 이후 회복추세임
사우디아라비아인 추이
(단위: 명, %)
사우디아라비아인 추이:구분,2019~2022년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인원 |
14,158 |
1,716 |
1,098 |
8,491 |
성장률 |
22.5 |
-87.9 |
-36.0 |
673.3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22).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s://know.tour.go.kr/stat/entryTourStatDis19Re.do (검색일: 2023.07.14)
사우디아라비아의 방한 의료관광 현황
'22년 기준 한국을 방문한 사우디아라비아인 환자는 '21년 대비 25.4% 성장한 637명으로 조사됨
- 이는 전체 외국인환자의 0.26% 수준임
- COVID-19 이후 실환자 수치가 급감하다가 '21년 이후 회복추세임
방한 사우디아라비아인 환자 수
(단위: 명, %)
방한 사우디아라비아인 환자 수 : 2018~2022년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환자 수 |
1,500 |
2,102 |
418 |
508 |
637 |
연간성장률 |
-25.1 |
40.1 |
-80.1 |
21.5 |
25.4 |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3). 내부 분석자료
사우디아라비아인 환자의 '22년 주요 진료 과목은 내과통합*(22.2%), 피부과(9.3%), 성형외과(7.2%)를 선호하였으며, 그 외 소아청소년과, 치과, 산부인과 순이었음
※ 내과통합 : 일반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가정의학과 포함
사우디아라비아인 환자의 주요 진료 과목('22년)
(단위: 명, %)
사우디아라비아인 환자의 주요 진료 과목('22년) : 구분 ,내과통합,피부과,성형외과,소아청소년과,치과,산부인과,이비인후과,정형외과,그 외 진료과,총합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내과통합 |
피부과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치과 |
산부인과 |
이비인후과 |
정형외과 |
그 외 진료과 |
총합 |
환자 수 |
193 |
81 |
63 |
59 |
51 |
43 |
40 |
38 |
301 |
869 |
비중 |
22.2 |
9.3 |
7.2 |
6.8 |
5.9 |
4.9 |
4.6 |
4.4 |
34.6 |
100.0 |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3). 내부 분석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