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 시장 규모
(관광객 동향) 카타르의 관광부문은 '22년 상반기에 729,000명 이상의 해외방문자가 카타르를 여행지로 선택하는 등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21년 전체에 비해 19% 증가한 수치임
-
(월간 해외방문자) '22년 6월 기준 KSA(26%), 인도(10%), 미국(5%), 오만(5%), 영국(4%), UAE(4%), 쿠웨이트(4%) 순임
-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쿠웨이트 및 아랍에미리트 등 GCC 국가의 방문이 높은 편임
의료관광 관련 정책
(국제 수준의 의료기관) 대부분의 카타르 의료기관은 국제 공인인증기관의 인정을 받음
- (JCI 인증) '16년 Academic Medical Center 인증프로그램에 따라 JCI(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로부터 하마드 의료공단(HMC)의 모든 병원을 인증 받은 세계 최초의 의료시스템으로 인정받음
- (캐나다 보건인증(The Canadian Health Certification)) 하마드 의료공단 이외의 소규모 의료기관은 캐나다 보건인증을 받음
- (의료기관 면허 갱신 시 국제 인증 필수) '15년 최고 보건위원회는 공중보건부 인증과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국제인증이 있어야 의료기관 면허 갱신이 가능하다고 통보함
트렌드 및 이슈
(Health Link International) 미국에 본사를 둔 Medical Travel Quality Alliance*로부터 국제 인증을 받은 카타르 최초의 의료관광 회사임
* 의료관광객 및 외국인환자에게 치료 및 관리를 제공하는 데 있어 최고 수준의 우수성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독립적인 국제 조직임
(관광과 의료관광에서 카타르 - 스위스 협력 강화) 카타르기업인협회(Qatari Businessmen Association, QBA)는 주 카타르 스위스 대사인 HE Edgar Doerig가 이끄는 의료관광 및 의료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스위스 기업 및 병원 대표단 방문을 통해 비즈니스 오찬을 통해 양국 간의 협력을 도모하고자 함
- 스위스 방문단은 관광 및 의료관광과 같은 다양한 부문에서 카타르-스위스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망한 기회가 있음을 강조하며 향후 카타르와 스위스 간의 협력관계가 강화될 전망됨
의료관광 순위
'20-'21년 세계의료관광지수(Medical Tourism index, MTI)*에 따르면, 캐나다가 1위(76.47점), 싱가포르 2위(76.43점), 카타르는 39위(61.13점)로 나타남
* MTI: 46개 의료관광 목적지에 대해 미국인의 인식 순위를 매기고 있으며, 의료관광산업, 목적지 매력, 의료서비스 품질 등 3가지 측면에서 41개 기준으로 조사한 지수임
- 카타르는 전 세계 46개국 중 목적지로서의 매력은 38위, 의료관광산업으로서는 43위, 의료서비스 품질로는 32위를 차지함
- 한국(68.81점)은 14위임
국제 의료관광기관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CI) 인증을 받은 카타르 의료시설은 23개로 조사됨('23년, 8월)
* Al Borg Medical Laboratories Qatar Labs (Al Waab & Duhail), Al Hayat Medical Center, Al Khor Hospital, Al-Wakra Hospital - Hamad Medical Corporation, Ambulatory Care Center, Communicable Disease Center, Gulf Laboratory and Radiology, Hamad Dental Center, Hamad General Hospital, Hamad Medical Corporation Ambulance Services (HMCAS), Heart Hospital, HMC Home Healthcare Services, Magrabi Center for Eye, ENT and Dental, Mental Health Service, Micro Health Laboratories, National Centre for Cancer Care and Research (NCCCR), Qatar Rehabilitation Institute, Qatargas Medical Services Department, Reyada Medical Centre, Rumailah Hospital, Sidra Medicine, The Cuban Hospital, Women's Wellness Research Centre, Hamad Medical Corporation
- JCI 인증을 받은 한국의 의료시설은 7개*로 조사됨('23년, 5월)
* Goodwill Dental Clinic at Hadan, Humphreys Dental Clinic, Kim Byoung Joon LEDAS Varicose Vein Clinic,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Proud Urology Clinic,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치료비용 비교
카타르는 미국에 비해 약 1/3수준으로 절감된 비용으로 치료 받을 수 있음
- 치과 임플란트의 경우 카타르는 300~900달러 수준으로, 미국과 한국의 30~60% 수준으로 저렴함
- 체외수정의 경우 카타르는 5,000달러 이상으로, 미국의 30%수준, 한국의 60% 수준임
주요 진료 및 수술비용 비교
(단위: 달러)
주요 진료 및 수술비용 비교:구분,카타르*,미국,한국(2021)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카타르* |
미국(2021) |
한국(2021) |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 |
300-900 |
1,500 |
1,500 |
체외수정(IVF Treatment) |
5,000 < |
15,400 |
8,000 |
* ILAJAK Medical에서 제시된 치료비용임
출처: ILAJAK Medical(2023.08.10). Dental Implant in 2023. https://www.ilajak.com/en/blog/dental-implants-cost (검색일: 2023.08.25); ILAJAK Medical(2023.08.10). Better Service and Cheaper Prices. https://www.ilajak.com/en/cost (검색일: 2023.08.25); MedicalTourism.com(2021). International Medical Treatment Prices. https://www.medicaltourism.com/compare-prices (검색일: 2023.06.30)
방한 카타르인 현황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22년 한국을 방문한 카타르인은 '21년 대비 478.0% 성장한 919명으로 조사됨
-
이는 '19년에 비해 약 43% 수준으로, COVID-19 이후 방한 카타르인의 수치가 급감하다가 '22년 이후 회복추세임
방한 카타르인 추이
(단위: 명, %)
방한 카타르인 추이:구분,2019~2022년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인원 |
2,155 |
147 |
159 |
919 |
성장률 |
16.2 |
-93.2 |
8.2 |
478.0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22).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s://know.tour.go.kr/stat/entryTourStatDis19Re.do (검색일: 2023.07.14)
카타르의 방한 의료관광 현황
'22년 기준 한국을 방문한 카타르인 환자는 '21년 대비 48.8% 성장한 183명으로 조사됨
-
이는 전체 외국인 환자의 0.07% 수준임
- COVID-19 이후 실환자 수치가 급감하다가 '21년 이후 회복추세임
방한 카타르인 환자 수
(단위: 명, %)
방한 카타르인 환자 수 : 2018~2022년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환자 수 |
262 |
489 |
82 |
123 |
183 |
연간성장률 |
-4.7 |
86.6 |
-83.2 |
50.0 |
48.8 |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3). 내부 분석자료
카타르인 환자의 '22년 주요 진료 과목은 내과통합*(22.3%), 성형외과(13.5%), 정형외과(8.4%)를 선호하였으며, 그 외 피부과, 비뇨기과 순이었음
※ 내과통합 : 일반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가정의학과 포함
카타르인 환자의 주요 진료 과목('22년)
(단위: 명, %)
카타르인 환자의 주요 진료 과목('22년) : 구분 ,내과통합,성형외과,정형외과,피부과,비뇨기과,한방통합,검진센터,신경외과,그 외 진료과,총합계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
내과통합 |
성형외과 |
정형외과 |
피부과 |
비뇨기과 |
한방통합 |
검진센터 |
신경외과 |
그 외 진료과 |
총합계 |
환자 수 |
61 |
37 |
23 |
13 |
11 |
10 |
10 |
9 |
100 |
274 |
비중 |
22.3 |
13.5 |
8.4 |
4.7 |
4.0 |
3.6 |
3.6 |
3.3 |
36.5 |
100.0 |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3). 내부 분석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