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Statista에 따르면 키르기스스탄의 뷰티 케어(천연 및 합성 화장품, 향수) 전자 상거래 시장은 ’22년에 2,306만 달러로 예상되며 연평균 13.4% 성장하며 ’25년 3,363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키르기스스탄은 K-POP과 드라마 등 한류의 유행으로 수많은 한류 팬이 한국 의류, 화장품, 한식까지 수입하는 시장을 만들고 있음
인스타그램 등 SNS 판매 채널에서도 한국 화장품을 판매하는 계정이 많음
키르기스스탄에서 화장품 시장은 점점 더 대중화되어 수백 개의 회사가 운영되고 있으며, 모조품에서 전문 스킨케어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의 화장품을 키르기스스탄 사람들에게 제공하고 있음
키르기스스탄에서는 Issyk-Kul 지역의 Tasma 마을 등에서 생산되는 천연화장품이 발전하고 있으며 재료로는 왁스, 프로폴리스, 허브, 과일 및 베리 등을 사용하고 있음
키르기스스탄의 화장품 수입은 ’21년 기준 약 4,27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2.1% 증가하였음
- ’16년부터 ’21년까지 연평균 -4%의 역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코로나19가 확산된 ’20년에는 수입이 30.4% 하락하였음
- 기초·색조와 두발용의 비중이 크며, 비누(피부세척용)와 향수·화장수의 성장세가 가장 높음
키르기스스탄 화장품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키르기스스탄 화장품 수입 동향:구분,2016,2017,2018,2019,2020,2021 정보입니다.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3303 (향수·화장수) |
2.63 |
3.72 |
4.62 |
5.32 |
3.66 |
5.15 |
3304 (기초·색조) |
26.19 |
20.71 |
21.65 |
15.68 |
10.22 |
18.27 |
3305 (두발용) |
32.83 |
13.35 |
14.27 |
14.47 |
9.34 |
12.36 |
3307.10 (면도용) |
0.28 |
0.38 |
0.35 |
0.27 |
0.19 |
0.33 |
3307.20 (데오드란트) |
5.03 |
1.80 |
2.24 |
2.08 |
1.65 |
2.05 |
3307.30 (입욕제) |
0.09 |
0.08 |
0.11 |
0.10 |
0.07 |
0.17 |
3401.30 (비누·피부세척용) |
2.08 |
1.18 |
1.62 |
2.39 |
2.94 |
4.35 |
합계 |
69.13 |
41.26 |
44.86 |
40.31 |
28.07 |
42.70 |
자료: UN Comtrade Database
키르기스스탄의 한국으로부터의 화장품 수입 규모는 ’21년에 496만 달러로 ’16년부터 ’21년까지 연평균 79%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비누(피부 세척용)와 기초·색조 화장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키르기스스탄의 한국 화장품 수입 동향
(단위: 달러)
키르기스스탄의 한국 화장품 수입 동향:구분,2016,2017,2018,2019,2020,2021 정보입니다.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3303 (향수·화장수) |
- |
412 |
224 |
383 |
1,264 |
- |
3304 (기초·색조) |
365,338 |
797,827 |
287,204 |
915,195 |
1,283,203 |
1,919,125 |
3305 (두발용) |
87,458 |
200,868 |
192,600 |
408,509 |
418,591 |
647,999 |
3307.10 (면도용) |
- |
- |
- |
- |
- |
- |
3307.20 (데오드란트) |
1,047 |
6 |
|
3,000 |
|
2,053 |
3307.30 (입욕제) |
- |
44 |
- |
- |
- |
- |
3401.30 (비누·피부세척용) |
3,769 |
51,126 |
226,535 |
674,478 |
1,508,016 |
2,387,261 |
합계 |
457,612 |
1,050,283 |
706,563 |
2,001,565 |
3,211,074 |
4,956,438 |
자료: UN Comtrade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