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산업
독일의 제약시장 규모는 ’21년 864억 달러, 1인당 의약품비는 1,029.8달러였음
- 제약시장 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5.62% 감소한 815억 3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8.14% 성장해 1,114억 6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1인당 의약품비는 ’21년 대비 5.62% 감소한 ’22년 971.9 달러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8.28% 성장해 ’26년 1,336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GDP 대비 의약품 비율은 ’21년 2.03%에서 ’26년 2.02%로 비교적 유사할 것으로 전망됨
- 총의료비 대비 의약품 비율은 ’21년 16.7%에서 ’26년 17.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독일 제약시장 전망
(단위: 달러, %)
독일 제약시장 전망 정보입니다.
구분 |
2020 |
2021 |
2022f |
2023f |
2024f |
2025f |
2026f |
제약시장규모 (10억) |
76.743 |
86.399 |
81.526 |
87.887 |
93.843 |
101.919 |
111.455 |
연간성장률 |
6.71 |
12.58 |
-5.64 |
7.80 |
6.78 |
8.61 |
9.36 |
1인당의약품비 |
916.0 |
1,029.8 |
971.9 |
1,049.1 |
1,122.0 |
1,220.4 |
1,336.0 |
GDP 대비의약품 비율 |
1.98 |
2.03 |
1.99 |
1.97 |
1.98 |
2.00 |
2.02 |
총의료비대비 의약품 비율 |
15.8 |
16.7 |
16.9 |
16.9 |
1.7 |
17.0 |
17.1 |
자료: Fitch Solutions – Germany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2022(f:
전망치)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독일에는 ’16년 기준 580개의 제약회사가 있으며 다국적 기업의 독일 지사도 포함되며 기업 중 대다수(약 92%)는 500명 미만을 고용하며 총 13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제약산업 분야에서 일하고 있음
- ’17년에 306억 유로(301.6억 달러) 상당의 의약품을 생산하였으며(’16년 대비 +4.7%), 754억 유로(743억 달러) 상당의 의약품을 수출하였으며 주로 미국으로 수출되었고
527억 유로(519.5억 달러) 상당의 의약품이 독일로 수입되었음
- 연구 및 혁신을 위한 전문가 위원회(Expertenkommission für Forschung und Innovation, EFI)에 따르면 제품 매출의 14%를 R&D 프로젝트에 지출하고 있음
’21년 의약품 수출액은 1,020억 유로로 전년 대비 15.1% 증가하며 독일 수출품 중 상위 5위 안에 들었음
- 독일 제약회사의 전체 성장률은 5.2%로 ’20년보다 0.7%p 높아졌으며 ’23년 까지 증가 속도가 2.2%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됨
제약회사들은 특허권이 없는 값싼 모조의약품인 제네릭 생산을 중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배송 병목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
- ’20년 건강에 지출된 4,410억 유로(4,347억 달러) 중 68억 유로(67억 달러)가 의약품에 사용되었으며, 처방된 약의 거의 80%가 제네릭으로 이 의약품은 기본적인 치료를
보장하지만, 약품 비용의 9%만 차지하고 있음
’21년 기준으로 독일 제약시장은 처방의약품 시장규모는 775억 3천만 달러로 전체의 89.7%를 차지하는 반면 일반의약품(Over The Counter, OTC)은 88억 7천만 달러로
10.3%를 차지함
- 처방의약품 중 특허의약품의 시장규모는 525억 달러로 전체 제약시장의 60.8%를 차지하고 있으며 처방의약품 시장을 기준으로 67.7%를 차지함
- 제네릭의약품의 시장규모는 250억 3천만 달러로 전체 제약시장의 29%이며, 처방의약품 시장을 기준으로 32.3%임
처방의약품 시장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5.7% 감소한 731억 3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8.6% 성장해 1,015억 5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일반의약품 시장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5.3% 감소한 84억 1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4.2% 성장해 99억 3백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처방의약품 중 특허의약품 시장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5.1% 감소한 498억 3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8.8% 성장해 698억 3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제네릭의약품 시장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6.9% 감소한 232억 9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8.0% 성장해 317억 2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이를 정리하면 처방의약품의 연평균성장률이 일반의약품의 성장률보다 높으며, 처방 의약품 중 특허의약품의 성장률이 제네릭의약품의 성장률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됨
독일 제약시장 구성
(단위: 십억 달러)
독일 제약시장 구성 정보입니다.
구분 |
2020 |
2021 |
2022f |
2023f |
2024f |
2025f |
2026f |
처방 의약품 |
특허 |
45.577 |
52.497 |
49.833 |
54.026 |
58.037 |
63.433 |
69.830 |
제네릭 |
23.223 |
25.030 |
23.293 |
25.104 |
26.787 |
29.057 |
31.722 |
소계 |
68.800 |
77.527 |
73.126 |
79.130 |
84.824 |
92.490 |
101.552 |
일반의약품 |
7.943 |
8.873 |
8.401 |
8.756 |
9.020 |
9.429 |
9.903 |
합계 |
76.743 |
86.399 |
81.526 |
87.887 |
93.843 |
101.919 |
111.455 |
자료: Fitch Solutions – Germany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2022(f: 전망치)
자료 재구성
이에 따라 ’21년 89.7%를 차지한 처방의약품 시장비율은 ’26년 91.1%로 증가하며, 일반의약품의 시장비율은 ’21년 10.3%에서 8.9%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전체 제약시장 대비 특허의약품의 시장규모는 ’21년 60.8%에서 ’26년 62.7%로 증가하고 제네릭의약품은 ’21년 29.0%에서 ’26년 28.5%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독일 제약시장 구성비율 2021년 vs 2026년
자료: Fitch Solutions – Germany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2022(f:
전망치) 자료 재구성
Fitch Solutions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의약품 수출 규모는 ’21년 기준으로 1,134억 3천만 달러이며, 의약품 수입 규모는 756억 2천만 달러로 의약품 무역 흑자가 378억
1천만 달러였음
- ’22년 의약품 수출은 ’21년 대비 3.26% 감소한 1,097억 4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13.6%의 성장을 보여 1,825억 1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2년 의약품 수입은 ’21년 대비 2.64% 감소한 736억 2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11.8%의 성장을 보여 1,149억 6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에 따라 독일의 무역흑자는 ’22년 361억 1천만 달러에서 ’26년 675억 5천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독일 의약품 수출입 전망
(단위: 백만 달러, %)
독일 의약품 수출입 전망 정보입니다.
구분 |
2020 |
2021 |
2022f |
2023f |
2024f |
2025f |
2026f |
의약품수출 |
94,785.80 |
113,434.23 |
109,737.89 |
123,503.88 |
138,244.10 |
157,995.96 |
182,509.07 |
연간성장률 |
9.88 |
19.67 |
-3.26 |
12.54 |
11.94 |
14.29 |
15.52 |
의약품수입 |
63,584.70 |
75,620.34 |
73,623.39 |
82,607.01 |
91,427.62 |
102,404.29 |
114,955.24 |
연간성장률 |
15.60 |
18.93 |
-2.64 |
12.20 |
10.68 |
12.01 |
12.26 |
자료: Fitch Solutions – Germany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2022(f:
전망치)
UN Comtrade Database에 따르면 독일의 한국에서의 의약품 수입은 ’21년 20억 1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84.7% 증가하였고 ’16년부터 지속적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음
- 독일의 한국 의약품 무역수지는 ’17년부터 ’21년까지 적자를 기록함
독일의 한국과의 의약품 교역(HS CODE: 30류)
(단위: 천 달러)
독일의 한국과의 의약품 교역(HS CODE: 30류) 정보입니다.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의약품 수출 |
689,061 |
756,168 |
817,371 |
889,504 |
917,343 |
1,314,796 |
의약품 수입 |
71,987 |
1,292,806 |
1,360,635 |
1,488,749 |
1,087,186 |
2,008,062 |
자료: UN Comtrade Database
독일은 ’20년 12월 독일 제조업체인 BioNTech의 백신 Comirnaty®가 미국 그룹 화이자(Pfizer)와 협력하여 유럽연합(EU)의 승인을 받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였음
- ’21년 1월에는 모더나와 아스트라제네카, 3월에는 존슨앤존슨, 12월에는 노바백스가 EU에서 승인되었으며 ’21년 12월부터 아스트라제네카는 사용이 중지되었음
- ’21년 6월부터 기업병원과 개인 클리닉에서도 접종을 시행하였고, ’21년 10월에는 보건 당국과 병원, ’22년 2월부터는 공공약국에서도 코로나19 예방 접종이 시작되었음
’22년 10월 16일까지 2억 1,600만 도즈가 예방 접종 센터, 이동 예방 접종 팀, 의료기관, 회사 의사 및 약국에 백신을 배달되었으며 이 중 86.7%가 접종에 사용되었음
- 배송된 2억 1,600만 도즈(610만 회분은 오미크론 2가 백신)를 제조사별로 보면 바이오테크/화이자 1억 5,690만 도즈, 모더나 3,740만 도즈, 아스트라제네카 1,440만
도즈, 존슨앤존슨 540만 도즈, 노바백스 190만 도즈 발네바 7만 3천 도즈 등임
EU는 모든 회원국을 대신하여 7개의 다른 백신 제조업체와 계약을 체결하여 백신을 확보하였으며, 독일 연방정부는 ’21년 3월 백신 생산 태스크포스 (Taskforce
Impfstoffproduktion, TIP)를 출범시켰으며 TIP는 코로나19 백신의 적시 생산 및 배포에 기여하는 모든 관련 행위자를 조정하였음
’22년 3월 독일 내각은 ’29년까지 코로나 백신을 제공하기 위해 5개 회사와 계약을 체결 하기로 했으며 ’29년까지 최대 28억 6,100만 유로(28.2억 달러)의 비용을 예상함
- 계약할 회사는 BioNTech, CureVac/GSK 컨소시엄, Wacker/CordenPharma 컨소시엄, Celonic 및 IDT Dessau 등임
독일은 ’21년 8월부터 ’22년 8월까지 COVAX를 통해 약 1억 1,900만 도즈의 백신을 기증했으며 또한 양자 간 협약으로 이집트, 가나, 나미비아, 태국, 우크라이나, 베트남에 총
800만 도즈를 기부하였음
- 독일은 ’20년 4월에 시작한 백신 배포를 위한 ACT-A(COVID-19 Tools Accelerator)에 참여하여 30억 유로를 지원하는 두 번째로 큰 기부 국가임
독일 코로나19 백신 공급 및 접종 현황
독일 코로나19 백신 공급 및 접종 현황 정보입니다.
백신 공급(IMF-WHO) 2022년 8월 31일 기준 |
백신 접종(OWID) 2022년 10월 21일 기준 |
인구(백만 명) |
공급 예측 (백만 도즈) |
실제 공급 (백만 도즈) |
100명당 접종횟수 |
접종완료 |
부분접종 |
1회이상 접종 |
83.90 |
561 |
561 |
224.50 |
73.14% |
2.77% |
77.7% |
자료: IMF-WHO COVID-19 Vaccine Tracker, Our World in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