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산업
오스트리아의 제약시장 규모는 ’21년 86억 7천만 달러, 1인당 의약품비는 958.8달러였음
- 제약시장 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7.61% 감소한 80억 1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7.61% 성장해 107억 4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1인당 의약품비는 ’21년 대비 7.85% 감소한 ’22년 883.5달러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7.45% 성장해 ’26년 1,177.5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GDP 대비 의약품 비율은 ’21년 1.82%에서 ’26년 1.74%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총의료비 대비 의약품 비율은 ’21년 15.3%에서 ’26년 15.6%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오스트리아 제약시장 전망
(단위: 달러, %)
오스트리아 제약시장 전망 정보입니다.
구분 |
2020 |
2021 |
2022f |
2023f |
2024f |
2025f |
2026f |
제약시장 규모 (10억) |
8.055 |
8.670 |
8.010 |
8.587 |
9.129 |
9.867 |
10.737 |
연간성장률 |
3.65 |
7.64 |
-7.61 |
7.20 |
6.32 |
8.08 |
8.82 |
1인당 의약품비 |
894.4 |
958.8 |
883.5 |
945.5 |
1,004.1 |
1,083.8 |
1,177.5 |
GDP 대비 의약품 비율 |
1.86 |
1.82 |
1.72 |
1.72 |
1.72 |
1.73 |
1.74 |
총의료비 대비 의약품 비율 |
15.2 |
15.3 |
15.2 |
15.3 |
15.4 |
15.5 |
15.6 |
자료: Fitch Solutions – Austria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2022(f:
전망치)
’20년에 오스트리아 제약산업은 62억 5천만 유로 이상의 매출을 올렸으며 매출은 가장 큰 회사는 Novartis Austria였음
’20년 오스트리아에서 405개의 생명 공학 회사가 있으며 그중 235개는 제조업체 또는 R&D 회사였음
- 주요 생산업체는 베링거인겔하임, 노바티스, 다케다, 화이자, MSD, 옥타파마 등 다국적 기업과 산도즈, 레이시오팜, 지엘파마, 제네리콘 등 제네릭 생산업체임
ADVANTAGE AUSTRIA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제약산업은 ’20년에 18,000명이 고용, 120개 회사가 운영, 13억 8,700만 유로의 매출을 보임
- 생명 공학 부문은 2,300명의 직원, 151개 회사가 운영, 4억 1,610만 유로의 매출을 올렸음
오스트리아 의약품 유통은 병원 약 20%와 약국/조제의사 약 80%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네릭의 사용을 장려하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네릭은 대부분의 OECD 시장보다 느린 성장률을
보여줌
- 이는 동일한 최대 요율로 특허 및 제네릭 생산자에게 상환하는 건강보험의 강력한 가격 통제 때문으로 보임
’21년 기준으로 오스트리아 처방의약품 시장규모는 75억 2천만 달러로 전체의 86.7%를 차지하는 반면 일반의약품(Over The Counter, OTC)은 11억 5천만 달러로 13.3%를
차지함
- 처방의약품 중 특허의약품의 시장규모는 62억 달러로 전체 제약시장의 7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처방의약품 시장을 기준으로 82.5%를 차지함
- 제네릭의약품의 시장규모는 13억 1천만 달러로 전체 제약시장의 15.1%이며, 처방의약품 시장을 기준으로 17.5%임
처방의약품 시장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7.9% 감소한 69억 3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7.2% 성장해 91억 5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일반의약품 시장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6.0% 감소한 10억 9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10.0% 성장해 15억 9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처방의약품 중 특허의약품 시장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7.9% 감소한 57억 2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7.4% 성장해 76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제네릭의약품 시장규모는 ’22년은 ’21년 대비 7.8% 감소한 12억 1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6.3% 성장해 15억 5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이를 정리하면 처방의약품의 연평균성장률이 일반의약품의 성장률보다 낮으며, 처방의약품 중 특허의약품의 성장률이 제네릭의약품의 성장률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됨
오스트리아 제약시장 구성
(단위: 십억 달러)
오스트리아 제약시장 구성 정보입니다.
구분 |
2020 |
2021 |
2022f |
2023f |
2024f |
2025f |
2026f |
처방 의약품 |
특허 |
5.810 |
6.204 |
5.715 |
6.112 |
6.485 |
6.998 |
7.602 |
제네릭 |
1.214 |
1.313 |
1.210 |
1.287 |
1.355 |
1.444 |
1.546 |
소계 |
7.024 |
7.516 |
6.925 |
7.399 |
7.839 |
8.441 |
9.148 |
일반의약품 |
1.031 |
1.154 |
1.085 |
1.188 |
1.290 |
1.426 |
1.589 |
합계 |
8.055 |
8.670 |
8.010 |
8.587 |
9.129 |
9.867 |
10.737 |
자료: Fitch Solutions – Austria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2022(f: 전망치)
자료 재구성
이에 따라 ’21년 86.7%를 차지한 처방의약품 시장비율은 ’26년 85.2%로 감소하며, 일반의약품의 시장비율은 ’21년 13.3%에서 14.8%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전체 제약시장 대비 특허의약품의 시장규모는 ’21년 71.6%에서 ’26년 70.8%로 감소하고 제네릭의약품도 ’21년 15.1%에서 ’26년 14.4%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오스트리아 제약시장 구성비율 2021년 vs 2026년
자료: Fitch Solutions – Austria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2022(f:
전망치) 자료 재구성
Fitch Solutions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의약품 수출 규모는 ’21년 기준 으로 131억 달러이며, 의약품 수입 규모는 96억 2천만 달러로 의약품 무역흑자가 34억 8천만
달러였음
- ’22년 의약품 수출은 ’21년 대비 4.10% 감소한 125억 6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10.03%의 성장을 보여 184억 1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2년 의약품 수입은 ’21년 대비 8.71% 감소한 87억 8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22년부터 ’26년까지 연평균 10.83%의 성장을 보여 132억 5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에 따라 오스트리아 무역흑자는 ’22년 37억 8천만 달러에서 ’26년 51억 6천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오스트리아 의약품 수출입 전망
(단위: 백만 달러, %)
오스트리아 의약품 수출입 전망 정보입니다.
구분 |
2020 |
2021 |
2022f |
2023f |
2024f |
2025f |
2026f |
의약품수출 |
11,741.46 |
13,097.75 |
12,560.74 |
13,887.89 |
15,123.91 |
16,674.68 |
18,408.85 |
연간성장률 |
11.19 |
11.55 |
-4.10 |
10.57 |
8.90 |
10.25 |
10.40 |
의약품수입 |
7,491.93 |
9,622.44 |
8,783.98 |
9,784.94 |
10.736.12 |
11,914.96 |
13,251.57 |
연간성장률 |
4.06 |
28.44 |
-8.71 |
11.40 |
9.72 |
10.98 |
11.22 |
자료: Fitch Solutions – Austria Pharmaceuticals & Healthcare Report | Q4 2022(f:
전망치)
UN Comtrade Database에 따르면 오스트리아의 한국에서의 의약품 수입은 ’21년 3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50.3% 증가하였고 ’20년부터 증가세를 보여 주고 있음
- 오스트리아의 한국 의약품 무역수지는 ’16년부터 ’21년까지 흑자를 기록함
오스트리아의 한국과의 의약품 교역(HS CODE: 30류)
(단위: 천 달러)
오스트리아의 한국과의 의약품 교역(HS CODE: 30류) 정보입니다.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의약품 수출 |
31,828 |
38,488 |
44,635 |
42,985 |
36,891 |
38,626 |
의약품 수입 |
6,463 |
2,760 |
12,719 |
5,545 |
19,864 |
29,862 |
자료: UN Comtrade Database
’21년 3월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덴마크는 공동 연구 개발 기금과 코로나19 백신 생산 시설을 설립하여 추가 접종을 위한 장기 공급을 보장하거나 바이러스 돌연변이에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음
- 이는 유럽연합 회원국인 오스트리아와 덴마크가 27개 회원국 내에서 백신 주문, 승인 및 배포가 지연되는 데에 대한 불만 때문임
’21년 3월 오스트리아와 중앙 유럽 국가들은 유럽연합 27개국 내에서의 백신 분배의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시정 조치를 요구하였음
’21년 4월 오스트리아, 체코, 슬로베니아는 심각한 타격을 입은 회원국에 수 백만 개의 추가 백신을 먼저 제공하려는 EU의 계획에 반발하여 거래 참여를 거부하여 EU의 백신 재배포 협정에서
제외되었음
- 3개국을 제외한 24개 EU 국가의 연합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등 5개 회원국에 280만 도즈의 바이오테크/화이자 백신을 추가로 제공하는 연대
메커니즘을 승인했음
프랑스-오스트리아 생명공학 연구소 발네바(Valneva)가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에 대해 체결한 영국 정부의 1억 도즈 계약이 ’21년 9월 취소되었음
’22년 7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Valneva 백신에 대한 구매 계약 수정안을 승인하였으며 변경된 주문량인 125만 도즈가 EU 회원국(독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핀란드, 불가리아)에
전달될 것임
- ’21년 11월에 체결된 기존 계약은 최대 6,000만 도즈였음
오스트리아는 ’21년 11월까지 260만 회 이상의 백신을 이웃 국가와 국제 파트너 에게 지원하였으며 또한 국제 프로그램인 COVAX에 500만 유로와 100만 도즈의 존슨앤존슨 백신을 제공했음
- 추가로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에 45만 도즈, 베트남에 5만 도즈, 발칸 서부(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에도 mRNA 백신 100만 도즈를 추가로
기부할 예정임
’22년 1월 오스트리아는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의무화 법안을 통과시켰으 나 시민들의 반발과 정부 위원회가 오미크론 변이가 기존 델타 변이보다 덜 치명적이라 밝힌 후 3월 시행이 중단되었으며
6월에는 법안이 폐기될 예정임
’22년 9월 요라우흐(Rauch) 오스트리아 보건장관은 기존 코로나 백신 계약의 재협상을 원한다고 밝혔음
- 오스트리아에는 약 1,700만 도즈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680만 명이 부분 백신 접종을 받았음
- 다음 납품을 위한 계약은 ’21년 12월 체결되었으며 여기에는 200만 개의 모더나와 1,000만 개의 화이자 백신이 포함됨
- 오스트리아는 지금까지 7억 6천만 유로(7억 4천만 달러)에 달하는 백신을 조달했음
오스트리아 코로나19 백신 공급 및 접종 현황
오스트리아 코로나19 백신 공급 및 접종 현황 정보입니다.
백신 공급(IMF-WHO) 2022년 8월 31일 기준 |
백신 접종(OWID) 2022년 10월 30일 기준 |
인구(백만 명) |
공급 예측 (백만 도즈) |
실제 공급 (백만 도즈) |
100명당 접종횟수 |
접종완료 |
부분접종 |
1회이상 접종 |
9.04 |
57 |
57 |
221.42 |
76.6% |
- |
77.1% |
자료: IMF-WHO COVID-19 Vaccine Tracker, Our World in Data, 구글 코로나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