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전달체계
우크라이나 의료시스템은 국가(national), 주(oblast(province)) 및 지역(sub-oblast(local) 등 3개의 수준으로 구분됨
- (국가) 보건부(Ministry of Health) 또는 보건부 산하 주 정부 기관(state entities)에 의해 설립된 중앙 집행기관 및 국가 의과학 아카데미 등이 속함
- 보건부는 주 차원의 품질 표준 및 임상 프로토콜을 개발·승인하며, 건강관리의 필수 인증을 구현하고 법인, 의료서비스 전달에 관여하는 개인, 의약품 생산 및 판매, 의료기기 등의 면허·등록에 관여함
- (주) 보건부에 의해 설립된 주 행정 보건당국 및 공공 의료기관, 그리고 주 공동체가 공동으로 소유한 공공 의료기관 등이 이에 속하며, 그 예로는 주 병원, 진단센터 등이 있음
- 주 및 지역 정부는 해당 지역의 의료기관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기능적으로는 보건부에 종속되지만, 관리 및 재정적으로는 지방 및 지역 정부에 종속됨
- (지역) 주 행정 당국에 의해 설립된 지방·지역 자치정부의 의료기관이 속함
-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지역 의료기관 관리에 대한 책임이 의회와 집행기관에 위임됨
우크라이나의 의료시스템 기능은 1·2·3차 진료로 구분됨
- (1차 및 예방 진료(primary & preventive care)) 1차 및 예방 진료는 주로 개업의(general practitioners)에 의해 이루어짐
- 우크라이나 헌법 제49조에 따라 모든 사람은 건강 보호, 의료서비스, 건강보험에 대한 권리가 있으며, 주 및 공동 건강보호시설(state and communal health protection institutions)은 무료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함
- (2차 진료(secondary care)) 도시 병원(city hospitals)의 별도 부서, 중앙 Rayon 병원(central rayon hospitals), 또는 부분적으로는 지역 병원(oblast hospital)에서 이루어짐
※ central rayon hospitals: 시골 지역의 보건의료를 책임지는 지방 병원
- (각 기관별 관리 주체) 중앙 Rayon 병원의 경우 수석의(the chief physician), 도시 병원의 경우 시 의회 집행위원회의 의료서비스 부서, 지역 병원은 주 행정당국의 의료서비스 부서가 관리를 담당함
- (3차 진료(tertiary care)) 전문 국립 병원, 국립 진료소, 국립 요양원, 연구기관의 클리닉 등에서 이루어짐
- (각 기관별 관리 주체) 도시 병원의 경우 시 의회 집행위원회의 의료서비스 부서, 지역 병원의 경우 주 행정당국의 의료서비스 부서, 전문화된 중앙 병원과 클리닉, 의과대학 및 의료인력 교육기관은 보건부가 관리를 담당함
지원 가능한 의료기관 네트워크(Capable health facility networks) 구성을 통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역량 있는 네트워크 구축하여 e-Health시스템 적용함
-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계획(Capable Network Plan)은 '20년 1월 우크라이나 내각(Cabinet of Ministers of Ukraine)의 승인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입원 환자 치료를 위해 Capable Network에 포함된 병원은 212개임
- 1차 진료(구급차 서비스, 환자 수송 및 통신)를 포함한 의료서비스를 지역 내 네트워크로 연계하여 지역사회 수준에서 관리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