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키르기스스탄Kyrgyz Republic

목록으로 돌아가기

의료전달체계

키르기스스탄 의료시스템은 국가(national), 주(oblast(regions)) 및 지역(rayons(districts)) 등 크게 3개의 수준으로 구분됨

1차 의료는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이며, 일반적으로 가정의학과(Family Group Practice, FGPs)가 초기 방문, 검진, 검사 및 치료를 담당함

  •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가정의는 환자를 가정의학센터(Family Medicine Centres, FMCs)나 병원에 의뢰함
  • 농촌지역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Feldsher-Obstetric Points(FAPs)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의사보조원(feldsher)*와 FAPs에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가정의에 의해 운영됨 * 의사보조원(feldsher): 의사와 간호사의 중간 역할로서, 의과대학을 졸업하지 않고도 특정 시험에 합격한 경우에 한하여 진료행위를 할 수 있는 의료인력을 가리킴

2차 의료서비스 제공자로는 크게 주 병원(oblast merged hospitals)과 도시 병원(city hospitals)이 있음

  • 특수 입원환자 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2차 의료시설에는 지역 병원(district level hospitals), 일반 진료센터의 병원(hospitals of general practice centres), 산부인과 병원, 아동 병원, 결핵 병원(TB hospitals), 재활 병원, 지역 병원(regional hospitals)이 포함됨

3차 의료시설에는 고도로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 센터 및 연구소가 있음

  • 그러나 사실상 해당 3차 의료시설은 여러 가지 제도적 문제로 인해 전문화 정도, 규모, 자원, 지리적 접근성 측면에서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3차 의료시설은 키르기스스탄의 수도인 Bishkek에 집중되어 있어, 이는 진료에 대한 지리적 접근성의 문제로 이어지며 환자 요구사항과 가용 자원 간의 불일치가 발생하게 됨

키르기스스탄의 의료전달체계

출처: European Observatory(2022). Kyrgyzstan Health system review. p.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