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전달체계
의료전달체계는 초기의료(1차 진료), 2차 진료 및 3차 진료로 나뉨
- (초기 의료) 통상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나 외상 등의 치료뿐만 아니라 질병예방, 건강관리 등 지역과 밀착된 보건·의료·복지에 이르는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로서, 주로 지역 진료소와 병원이 그 역할을 담당함
- (2차 의료) 입원의료 및 전문 외래의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지역의 핵심병원이 담당함
- (3차 의료) 특수·선진적 의료에 대응하는 특수한 진단을 필요로 하는 고도·전문적인 의료로서 첨단·전문 의료기기를 갖춘 전문병원과 대형병원이 담당함
민간 중심의 의료전달체계에서 자국민은 대형병원 및 전문의료기관을 포함해 자유롭게 의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법제화된 주치의제도가 없고, 단골의사 이용을 권장함
- 법제화된 주치의 제도는 없고, 단골의사의 개념만 있으며, 정부에서는 단골의사 이용을 권장함
의료·개호종합확보추진법에 따라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서 의료와 개호의 유기적인 연계를 도모하고자 함
- 일본은 '25년이 되면 65세 이상 인구가 30% 이상이 되며, 후기 고령자는 18%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실정임
-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의료 기능별 병상 기능을 4가지로 구분하여 병상 기능에 따라 전국적으로 필요한 병상 수를 매년 추계하여 조절하고 있음
- 전 지역을 응급의료를 포함한 일반적인 입원 치료가 해결될 수 있도록 구역을 세분화함
병상기능에 따른 의료기능 분화 계획
기관명 | 내용 |
---|---|
1차 의료권 |
|
2차 의료권 |
|
3차 의료권 |
|
일본 의료전달체제
(단위: 개, %)
시설구분 | 병원 | 진료소 | ||
---|---|---|---|---|
시설수 | 구성비율 | 시설수 | 구성비율 | |
전체 | 8,205 | 100 | 104,292 | 100 |
국가* | 320 | 3.9 | 545 | 0.5 |
공적의료기관 | 1,194 | 14.6 | 3,997 | 3.8 |
사회보험관계단체** | 47 | 0.6 | 436 | 0.4 |
의료법인 | 5,681 | 69.2 | 45,048 | 43.2 |
민간기관 | 137 | 1.7 | 40,304 | 38.6 |
기타*** | 823 | 10.1 | 13,962 | 13.4 |
** 건강보험조합 및 그 연합회, 공제조합 및 그 연합회, 국민건강보험조합
*** 공익법인, 사립학교법인, 사회복지법인, 의료생협, 기타 법인
출처: Japanese Nursing Association(2019). 医療提供体制の概要. https://www.nurse.or.jp/nursing/health_system/outline/index.html(검색일: 2023.05.15)
일본 지역의료구상에 따른 '25년 의료기능별 병상 필요량('22년 9월) 기준)

수가제도의 범위 및 의료전달체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