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의료전달체계

(정부의 역할) 중국의 중앙 정부는 국가 보건 입법, 정책 및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지며 모든 중국 시민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보장함

  • 지방정부는 모든 시민이 기본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조직하고 제공할 책임이 있음
  • 국가 및 지역 보건기관은 건강 품질 및 안전, 비용 관리, 제공자 수수료, 건강정보 수집 및 보건 형평성에 대한 포괄적인 책임이 있음
  • 국가 보건위원회(National Health Commission)는 핵심 국가 보건기관으로, 위원회는 국가 보건정책을 수립함
    • 의료 및 건강관리 개혁을 조정·발전시키고 공중보건, 의료, 건강 비상 대응 및 가족계획서비스를 관리·감독함
    • 중국 전통의학의 관리국은 본 기관과 제휴하고 있음
    •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Chin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는 정부 기관은 아니지만 국가보건위원회 산하 기관임
    • 국가 보건위원회 산하 중국의학원(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은 국가보건연구센터의 역할을 함
  • 공공건강보험 관리국(State Medical Insurance Administration)은 기본 의료 보험 프로그램, 재난 의료 보험, 출산 보험 프로그램, 의약품 및 건강 서비스 가격 책정, 의료 재정 지원 프로그램을 감독함
  • 전국인민대표대회(National People’s Congress)는 건강 및 의료 관련 입법을 담당하나 주요 보건 정책과 개혁은 국무원과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의해 시행되고, 이는 법으로 간주됨
  • 국가발전개혁위원회(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는 의료 인프라 계획을 주관하고 의료서비스 제공자 간의 경쟁을 관리·감독함
  • 재무부(Ministry of Finance)는 정부 의료 보조금, 건강보험 기부금 및 의료시스템 인프라에 대한 자금을 제공함
  • 새로 신설된 국가시장감독청(State Market Regulatory Administration)에는 의약품 승인 및 면허를 담당하는 중국약품감독관리국(China Drug Administration)이 소속되어 있음

(건강보험 안전망) 개인 보험료를 감당할 수 없거나 본인부담금의 지출을 충당하기 어려운 경우 지방 정부와 사회 기부금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의료 재정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의료 소외계층에 대한 보험 가입 독려의 역할을 하고, 재난 치료비용으로 인한 재정적 위기에 있는 대상자들에게 최소한의 재정적 안전망을 제공하고 있음
  • 지자체 인구의 약 5.5%(7,670만 명)가 건강보험 가입을 위해 안전망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았고 약 5,360만 명(인구의 3.8%)이 직접적인 의료비 지원을 받았음('18년 기준)

환자 본인부담금 및 안전망

 

환자 본인부담금 및 안전망(서비스,서비스당 요금,연간 최대 본인부담금(안전망))정보입니다.

서비스

서비스당 요금

연간 최대 본인부담금(안전망)

1차 의료 방문

  • 평균: CNY 7.20 (USD 2.03)

  • 범위: CNY 2.53–8.44 (USD 0.71~2.38)

연간 최대치 없음

전문의 상담

  • 평균: CNY 58.08 (USD 16.36)

  • 범위: CNY 21.95~68.04 (USD 6.18~19.17)

연간 최대치 없음

입원(방문당)

  • 평균: CNY 3,917 (USD 1,103)

  • 범위: CNY 3,491~4,899 (USD 1,110~1,380)

연간 최대치 없음

퇴직자 할인

처방약(외래환자)

  • 1차 의료 방문 중 처방된 약의 경우

    • 평균: CNY 11 (USD 3)

    • 범위: CNY 6~13 (USD 2~4)

  • 전문의 상담 중 처방된 약의 경우

    • 평균: CNY 52 (USD 15)

    • 범위: CNY 31~58 (USD 9~16)

연간 최대치 없음

중국의 의료전달체계는 일반적으로 1차 의료기관에 속하는 기층 보건의료기관과 전문 공중보건기관, 그리고 2·3차 의료기관에 해당하는 병원의 형태로 구분됨

(1차 의료) 기층보건의료기관은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을 위한 기관으로서 1차 의료를 담당하며, 병원보다 작은 규모의 지역사회 의료센터, 도시보건센터, 향·진 보건센터, 촌 진료소, 문진부/진료소 등이 있음

  • 공중보건기구로는 질병예방관리센터, 부녀아동보건기구, 위생감독기구 등이 있음

(2·3차 의료) 2·3차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중의병원, 중서의결합병원, 민족병원 및 각종 전문병원과 전문 간호사가 상주하는 요양시설인 호리원*이 있음 * 호리원: 일종의 nursing home으로서, 전문 간호사가 상주하는 요양시설을 가리킴

(도시지역) 도시지역은 지역사회 의료센터, 촌 진료소, 1급 병원부터 3급 병원까지 다양한 형태로 조직되어 있으나, 제대로 된 의료전달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음

  • 3차 의료기관이라 볼 수 있는 3급 병원은 환자가 1·2차 의료기관의 진료의뢰서가 없어도 바로 접근할 수 있어, 환자 또는 그 가족들이 경증임에도 중대도시의 3급 병원으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남

(농촌지역) 농촌지역은 현급 병원을 비롯하여 그 아래 향·진 보건센터, 촌 진료소를 포함한 3단계 보건의료서비스망이 구축되어 있으나, 저명한 의사와 고가 및 최첨단 의료장비가 종합병원과 중의원, 전문병원에 집중되어 있기에 3급 병원 등 대형 공공 병원에 대한 쏠림 현상이 나타남

(지역사회 의료센터(Community Health Centres, CHCs)) 1997년 도시지역의 1차 의료는 지역사회 의료서비스(Community Health Service, CHS)를 중심으로 재차 강조되었고, CHCs를 필두로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1차 의료 인프라를 확보하는 것이 정부 정책의제의 최우선 순위가 되었음

  • CHCs는 센터의 소유와 경영 주체에 따라 ① 정부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지역사회 의료센터(G-CHCs), ② 정부가 소유하고 병원이 관리하는 지역사회 의료센터(H-CHCs), ③ 개인이 소유하고 개인이 관리하는 지역사회 의료센터(P-CHCs)로 구분됨
    • (G-CHCs) 지방정부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센터로서, 발생 수익은 지방정부의 재정으로 들어가고 지출은 지방정부에서 직접 지불함. 지방정부는 G-CHCs의 성과를 매년 평가하며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센터는 정부기금의 10%를 추가로 지급받고,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곳은 10% 삭감됨
    • (H-CHCs) 지방정부가 소유하지만 병원이 관리하는 센터로서, 병원 내에서 하나의 진료과 형태로 운영되며 보조금 및 수익은 자체적으로 관리됨
    • (P-CHCs) 사회 및 민간 투자에 의해 설립되고 민간단체에 의해 관리되는데, 일반적으로 정부나 병원으로부터 독립적이며 보조금을 받지 않음

중국 정부의 보건의료조직

출처: 의료정책연구소(2017). 중국의 일차의료 정책 동향과 시사점. p.6

CHCs의 유형별 특징 및 제공서비스

 

CHCs의 유형별 특징 및 제공서비스(구분,G-CHCs,H-CHCs,P-CHCs)정보입니다.

구분

G-CHCs

H-CHCs

P-CHCs

소유 및 운영

지방정부 소유

병원으로부터 독립 운영

지방정부 소유

병원이 관리

개인·사회 투자자 소유

병원으로부터 독립 운영

인력

임상의사, 공중보건의사, 간호사, 관리직원 등

관리·감독기구

보건국

CHC 수익

지방정부 귀속

CHC 내 자급자족

CHC 내 자급자족

CHC 지출

(인건비 포함)

지방정부 예산 활용

CHC 수익 활용

CHC 수익 활용

제공서비스

현대의학 및 전통중의학을 포함한 1차 의료

임상진료정보입니다.

임상진료

상담 및 처치

내과, 일반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내과, 일반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내과, 일반외과

전통중의학

한약, 재활, 침술, 상담

한약

한약, 재활, 침술, 상담

예방진료정보입니다.

예방진료

고령자

매년 무료 건강검진

만성질환

고혈압 및 당뇨관리

무료 가정방문

고혈압 및 당뇨관리

고혈압 및 당뇨관리

임산부

출산전후 무료상담

출산전후 무료상담

-

아동예방접종

11종 1급 무료예방 접종서비스

건강교육

건강상담 및 공개강좌

건강기록

종이차트

종이차트 및 전자차트

전자차트

출처: 의료정책연구소(2017). 중국의 일차의료 정책 동향과 시사점. p.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