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전달체계
아제르바이잔 의료시스템은 소비에트 연방의 Semashko 의료시스템을 기반으로 함
- 입원 치료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중앙집중화·단편화 되어있고, 효율성이 떨어짐
- '15년 기준, 1차 의료시설 25개소, 2차 의료시설 86개소를 복구 및 재건함으로서 의료시스템을 개선하고자 함
- 독립 이후 중앙정부는 의료시스템 재정의 권한을 유지하며, 보건제도를 분권화하지 않음
- 의료서비스는 공공 및 민간의료 기관에서 제공하며 보건부가 규제·관리함
(전달체계) 도시 및 중앙지역 병원(city and central district hospitals), 마을병원(village hospitals), 폴리클리닉(polyclinics), 보건소(village clinics), 보건지소(village health service point)로 이루어져 있음
- MHI는 반드시 1차 진료 의사(주치의)에게 진찰을 받은 후 2·3차 병원 및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도록 함
- (1차 진료) 보건소는 외래환자에게 일반 및 전문 의료서비스를 제공함 ※ 환자 입원서비스(inpatient services)는 1차 진료 모델을 향한 개혁의 일환으로 중앙병원으로 이전됨
- (2·3차 진료) 환자 입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으로 구성됨
- (거주 지역에 따른 분류) 도시 거주민은 종합병원과 중앙 수도병원에서, 외곽 지역민은 보건소와 보건지소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음
- 인구 및 병원의 규모에 따라 의사 및 간호사가 근무하는 마을진료소 또는 구급대원이 근무하는 보건지소에서 진료를 받음
보건부는 수도 내의 종합병원, 3차 진료 병원 등 다양한 의료시스템을 관리하며, 수도 외의 시설은 직접 관리하지 않음
- 수도 외의 의료시스템은 지역 집행 위원회(Executive Committees, ExComs)가 관리함
- 지역 집행 위원회는 지방의 중앙 병원, 전문 병원, 마을 병원의 네트워크를 관리함
아제르바이잔 의료전달체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