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프로그램(Affordable Medicines Programme, AMP)
(시행) '17년 4월, 보건부는 심혈관 질환, 천식, 제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한 필수의약품의 전체 또는 부분 상환을 제공하는 비용 상환 프로그램을 시행함
(배경) 우크라이나 내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고 삶의 질을 떨어트리는 만성질환을 가진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3대 질환에 대한 필수의약품을 지원하고자 함
- 우크라이나에서는 모든 사망의 65%가 심혈관 질환(CVD), '15년 기준 제2형 당뇨병 환자는 100만 명 이상, 천식 환자는 210,000명 이상(주로 어린이와 청소년)으로 등록됨
(주요내용) 3대 질환과 관련된 단일제제*의 저가의약품을 무상 제공함
* 심혈관질환관련 단일제제: Amiodarone, Amlodipine, Atenolol, Verapamil, Hydrochlorothiazide, Spironolactone, Furosemide, Digoxin, Enalapril, Isosorbide dinitrate, Carvedilol, Clopidogrel, Metoprolol, Glyceryl trinitrate, Simvastatin, Bisoprolol, Losartanum
* 제2당뇨병 관련 단일 제제: Metformin, Gliclazide, Glibenclamidum
* 천식관련 단일제제: Beclometasone, Budesonide, Salbutamol
※ There is a Medicine” (ELiky)를 통해 의약품 비용 및 지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매주 업데이트하여 제공함
(운영) '20년 이후 NHSU제도로 통합 운영됨
의료보장 프로그램(Program of Medical Guarantees, PMG)
(목표) 모든 유형의 의료서비스로의 확장을 통해 자금조달이 입력기반에서 출력기반으로 전환되어 환자 요구에 따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자 함
(근거)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가 재정 보증(On State Financial Guarantees of Health Care Services, NO. 2169-Ⅷ)법에 의거하여 시행됨
(주요내용) 파편화되어 있었던 정부 의료 자금 출처를 의료보장 프로그램으로 통합하여 운영·관리하고자 함
- '20년 말 기준, 총 정부 의료지출의 68%가 의료보장프로그램 내에서 통합운영 중임
- 우크라이나 국민 건강보험(National Health Service of Ukraine, NHSU) 도입을 통한 의료서비스 보편화, e-Health 도입을 통한 디지털 헬스케어로의 개혁을 꾀함
- 의료패키지 자금조달 개선을 통해 지속적이고 보편적인 의료서비스로의 발전을 꾀함
- '20년 COVID-19관련 치료를 포함한 패키지 추가를 통해 총 31가지로 확장됨
- '21년 결핵, 정신건강 및 COVID-19 예방접종이 추가로 포함됨
- 디지털 헬스케어와 NHSU제도의 개혁을 통해 2·3차 의료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을 추진함
의료보장 프로그램 내 의료서비스 패키지 구성
출처: World Bank Group, WHO Europe(2022). Health Financing Reform in Ukraine. p.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