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보건프로그램(Health(Saglyk) State Program)
(목표) 국민의 복지, 평균 수명 연장,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에 대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채택하여 완벽하고 효과적인 의료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것임
- (2차 계획) '21년 개정된 계획에 따르면, 현대적인 의료센터를 건립하고 세계 최고의 제조업체로부터 첨단 장비를 구입하여 우수한 의료전문가를 양성하고 의약품 공급 매커니즘을 개선할 계획임
1995년에 채택된 이 프로그램은 20여년이 넘게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에 따른 주요 성과 및 경과는 아래와 같음
- 1996년 국가 자발적 건강보험(the state voluntary medical insurance of citizens)이 도입됨
- 1998년 투르크메니스탄 최초의 현대 심장학 의료센터가 세워졌으며, 해당 센터는 첨단의료장비를 갖추고 외과 수술을 포함한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였고, 독일 유수의 클리닉 및 연구센터와 협력을 통해 센터의 국제적인 위상을 높임
- 이후 거의 매년 새로운 전문센터가 개소하였고, 이에 따라 수도의 남부 지역은 첨단 의료도시로 탈바꿈하였으며, '10년에는 수도의 북부 외곽에 의료캠퍼스가 생겨 전염병 전문 의료센터와 결합하였음
- 연구 및 임상 심장학 센터, 모자 건강관리, 감염병 예방센터 등이 수도와 지방에 걸쳐 전국적으로 건립되고 관련 의료장비가 구축되었음
- 이에 따라, 지난 25년 여간 전국적으로 새로운 클리닉, 병원, 의료센터, 보건소 등 92개의 의료기관이 건립·운영되었음
해당 프로그램에서 중요 과제는 우수한 의료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임
- '10년 Murat Garryev State Medical University가 설립되었으며, 2차 의료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도 구축됨
항생제 내성 억제를 위한 국가 전략 2017-2025(National Strategy for Containmen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Turkmenistan, 2017-2025)
(배경) 해당 국가 전략은 항생제에 대한 유럽 전략 행동계획(European Strategic Plan of Action on Antibiotics)의 전략적 목표인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AMR) 억제에 대한 WHO 글로벌 전략(WHO Global Strategy on Containment of AMR)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음
(목표) AMR의 발생 및 확산 억제, 항생제 효과의 보존하고자 함
- ① 국가 AMR 감시 시스템 구축, ② 공중보건 및 수의학 서비스에서 항생제의 합리적인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의 도입, ③ 항생제 소비량의 추정, ④ 항생제 사용을 위한 품질관리 시스템 개선, ⑤ 의료전문가 및 국민 중 항생제의 합리적인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과 내성 발생에 대한 의료통지 시스템 구축이 있음
(주요내용) 공중보건서비스에 대한 부분이 강조됨
- 투르크메니스탄 보건의료산업부(Ministry of Health and Medical Industry)는 ① 전염병 예방 및 통제, ② AMR의 통제, ③ 항생제에 대한 접근성의 통제, ④ 항생제의 합리적인 사용 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함
- 수의학 및 농업 분야에서 AMR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① AMR 유행 패턴과 가축에 사용한 항생제에 관한 연구, ② 수의학 및 농업 분야에서 항생제 사용의 감소 및 금지를 위한 규범 및 규제문서의 강화, ③ 수의사가 처방한 경우에만 동물용 항생제에 대해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에 대한 연구 등에 대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계획함
의료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5개년 국가행동계획 2025
(배경) 아시아개발은행은 투르크메니스탄의 2·3차 의료 의존도가 높고 그동안 진행된 보건의료 인적자원 양성이 국립 의과대학 개혁, 의학 대학원 설립 등 의사들에게만 집중되었다고 판단, 간호사 인력 수준을 높이고 간호사 역할 강화 필요성을 제기됨
(주요내용) '25년에 완료되는 행동계획은 인적자원의 효과적 배치, 의료 교육시스템 개발, 인적자원을 위한 국제협력, 과학 기술 역량 구축, 인력 관리의 모니터링 및 평가 등 5개 영역에 중점을 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