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 2030(Kingdom’s Vision 2030)
'16년 발표한 국가 개발 전략인 Kingdom’s Vision 2030은 활기찬 사회, 번영하는 경제, 야심 찬 국가라는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개척 국가가 되려는 목표를 세웠으며, 그 중 의료사업이 중점 육성 사업으로 포함됨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650억 달러 이상을 국가 의료 인프라 개발에 투자할 계획임
- (목표) 290개의 병원 및 2,300개의 1차 보건센터의 민영화를 목표로 '30년까지 민간 부문의 기여를 40%에서 65%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공공 민간 파트너십(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추진) 공공 민간 파트너십을 통해 의료시스템의 민영화를 추진함
- (개선사항) 제한된 품질 및 비효율적인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해 임상 효과를 높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환자 경험 개선, 지속 가능성과 재정적 투명성을 개선함
- 한국 이지케어텍과 사우디아라비아 MNG-HA(Ministry of National Guard-Health Affairs) 간 인공지능(AI) 의료 소프트웨어인 닥터앤서의 구매의향서가 체결되었으며, 닥터앤서는 의료빅데이터를 통해 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지원함
국가 변혁 프로그램(National Transformation Program, NTP) 2020
(목표) 비전 2030에서 8개의 부문 중 보건부문과 관련된 변혁 프로그램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어려운 접근을 개선하기 위해 기반시설 개선, 적절한 지역별 보건시설 분포를 통해 동일한 서비스 보장, 진료예약 개선 등을 4가지 직접적인 목표를 설정해 이루고자 함
주요내용
-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개선) 보건부는 비전 2030을 통해 환자가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의료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총 수용력(병상 및 의료진)을 확대하고, 지역별 균등한 보건시설 분포, 시기적절한 의료서비스 제공, 저렴한 의료서비스 제공과 같은 4가지 요소를 해결함
- (의료서비스의 품질 및 효율성 향상) 지역 사회의 건강 개선 요구와 기대에 대한 부문을 위해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 건강 보장을 촉진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품질과 효율을 높이고 시민을 위한 무료 보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건강 위험 예방 개선) 건강 및 건강 불평등의 사회적 원인 해결, 고령 인구에 대한 건강 및 의료 개선, 만성질환 예방, 전 생애에 걸친 건강 개선을 위한 전략 등으로 이루어지며, 질병으로의 노출을 예방하기 위한 공공 보건과 전염병 및 자연재해를 포함한 전염성 및 비전염성 질병과 관련된 건강 리스크 관리가 포함됨
- (교통안전 강화) 교통안전은 사고로 인한 부상, 교통법규 위반 등 피해규모에 따라 정리된 목표를 설정함
NTP는 민영화 및 공공 민간 파트너십(PPP)에 집중하고, 비즈니스 환경 개선, 현지 시장 개발, 외국인 직접 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장려, 중소기업(Small and medium enterprise, SME) 지원 등을 통해 민간 부문의 기능을 확대할 계획임
효율성과 민영화를 위해 모든 시민에게 보장하는 무료 건강보험을 제공할 수 있는 국민건강보험센터 설립, 국가건강지주회사(National Health Holding Company)로 모든 의료서비스 이전, 지속 가능한 자금 조달 메커니즘을 만들고 보건부가 모든 공공 및 민간 의료기관을 규제하고 감독하는 데 중점을 두어 의료시스템의 전반적인 성과를 개선하기 위함
사우디 게놈 프로그램(Saudi Genome Program, SGP)
(목표) 유전질환 발병률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유전자 지도 문서화, 개인 맞춤형 의약품 개발, 유전 질환 예방, 의료비용 절감,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제작 중임
- (성과) '23년 총 7,500개의 희귀 유전자(1,230개의 희귀 유전 질환을 일으키는 3,000개의 희귀 유전자)를 발견했으며, 131개의 논문을 발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