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의료서비스

세계경제포럼, 지속 가능한 의료서비스의 접근방법을 제시

등록일 2023-08-21

세계경제포럼, 지속 가능한 의료서비스의 접근방법을 제시

분쟁, 폭력, 박해, 기후 재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22년 말까지 1억 8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으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난민에 대한 지속 가능한 의료서비스의 접근방법을 제시

  • 분쟁, 폭력 및 기후 재해로 인해 더 많은 헬스케어의 필요성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난민과 이를 수용하는 농촌 커뮤니티는 인프라, 장비, 일차의료 및 전문 인력을 포함한 의료서비스 접근에 더 큰 장벽에 직면 18년 케냐에서 시작된 15년간의 포괄적인 다중 부문 및 다중 이해관계자 이니셔티브인 ‘칼로베예이 통합사회 경제개발 프로그램(Kalobeyei Integrate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Programme, KISEDP)’이 좋은 사례
  • 케냐는 50만 명 이상의 난민을 수용하고 있으며, 그 중 20만 명은 케냐 북서부 시골 지역인 투르카나(Turkana)주에 거주 중으로, KISEDP는 Kalobeyei의 난민 및 수용 지역 사회의 자금지원을 위해 국립건강보험기금(National Health Insurance Fund, NHIF)을 최근 출시
  • Turkana의 Kalobeyei 정착촌에는 6만 명의 난민과 2만 명의 수용 커뮤니티 구성원이 있으며, ’23년 두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은 타당성과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한 시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NHIF 프로그램에 등록되었으며, 등록 이후 NHIF는 두 지역 사회의 구성원에게 저렴하고 접근 가능한 의료서비스를 제공

[World Economic Forum,2023.06.19.; UNHCR, 2023.06.] 

 ↑ 클릭 시 기사 원문으로 이동